언론 보도변화로 ‘베르테르 효과’ 크게 감소
상태바

언론 보도변화로 ‘베르테르 효과’ 크게 감소

  • 박진옥 기자
  • 승인 2021.07.22 1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서울 전홍진 교수, 유명인 자살 신중 보도 일반인 자살률↓...파파게노 효과 과학적 규명
전홍진 교수
전홍진 교수

언론이 유명인의 자살을 다루면서 보도방향을 바꾸자 일반인의 자살률이 크게 감소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유명 연예인 자살에 대한 영향은 크게 나타나는 가운데 자살을 묘사하는 언론보도를 자제하고 신중히 전할 경우 자살을 예방할 수 있다는 '파파게노 효과(Papageno effect)’가 과학적으로 규명된 것이다.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진 교수 연구팀은 '호주-뉴질랜드 정신의학 저널(Australian &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최근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우리나라의 최근 자살률이 줄어든 배경으로 언론의 보도변화를 제시했다.

2012년 자살예방법 시행과 더불어 2013년 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언론현장에 적용되면서 이러한 감소에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자살예방법'과 '자살보도 권고기준' 시행 이전인 2005년부터 2011년 사이 유명인의 자살 관련 보도가 나간 후 한 달 동안 일반인 자살률은 평균 18% 늘었다. 유명인의 사망 직전 한 달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로 5년치 월간 평균 자살률과 코스피(KOSPI)지수, 실업률, 소비자물가지수(CPI) 등을 모두 반영해도 자살 보도가 미친 영향은 뚜렷했다.

유명인의 자살 보도를 접하면서 힘든 상황에 있는 일반인들이 이에 동조하거나 우울증, 자살생각 등 부정적 요소들이 악화되면서 '베르테르 효과'(Werther effect) 가 나타난 탓이다.

보건복지부 발간 '2021 자살예방백서' 에 따르면 2020년 자살사망자 수는 1만3018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도 1만3799명 보다 781명(5.7%) 감소했으며, 자살률이 최고치에 이른 2011년(1만 5906명)과 2019년을 비교하면 2107명(13.2%) 줄었다.

하지만 2012년부터 변화가 감지됐다. 2012년' 자살예방법'과 2013년 '자살보도 권고기준'이 차례로 시행되면서, 유명인 자살보도 후 한 달 간 자살률 증가폭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됐다. 2013~2017년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법적, 제도적 정비와 더불어 자살을 대하는 언론의 보도 방향이 바뀐 덕분이라고 결론지었다.

전홍진 교수는 "언론의 노력으로 지난 10년간 더 많은 생명을 지킬 수 있었다"면서 "다만 2018년 이후 다시 영향력이 늘고 있다. 유튜브,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더 쉽게, 더 다양한 경로로 유명인의 자살 관련 소식이 전해지는 만큼 이에 대해서도 자정을 위한 사회적 합의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