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정복 위한 민·관 협력 강화 절실”
상태바

“코로나19 정복 위한 민·관 협력 강화 절실”

  • 김정우 기자
  • 승인 2020.03.09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형 IMI·AMP 모델 제안

코로나19를 계기로 향후 유사 감염병 사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강화하고 민·관 협력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유럽의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미국 국립보건원의 AMP(신약개발 촉진협력) 등 민·관 협력이 활발한 해외 사례를 벤치마킹함으로써 백신·치료제 개발 시기를 앞당기는 동시에 개발 완료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9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내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대학, 출연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신종감염병 관련 R&D 과제에 정부 지원금 368억원이 집행되고, 산업계와 연구기관, 학계가 과제를 수행하는 등 민관협력 사업이 진행되고 있지만, 과제 실효성은 여전히 의문"이라며 "과감한 정부 지원을 비롯해 연구성과가 실제 제품 개발·출시로 이어질 수 있는 민관 협력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유럽의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미국 국립보건원의 AMP(신약개발 촉진협력) 등 민·관 협력이 활발한 해외 사례를 소개했다.

유럽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Innovative medicines initiative) 개요유럽연합집행위와 유럽의약품산업협회(EFPIA) 회원사들이 공동 출자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의 세계 최대 민관협력 파트너십. 구성원은 학계, 산업계, 환자계, 의료기술평가 기관, 기타(정보통신기술‧이미징‧진단 등의 관련 분야 및 보건관련 자선단체 등)로, 다양한 주체들이 개입한 자체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럽 혁신 의약품 이니셔티브(IMI, Innovative medicines initiative) 개요

IMI는 유럽연합집행위와 유럽의약품산업협회(EFPIA) 회원사들이 공동 출자해 만든 것으로, 바이오헬스케어 분야 세계 최대의 민관협력 파트너십 사례로 꼽힌다. 학계·산업계·환자단체·규제 및 의료기술평가기관 등이 하나로 뭉쳐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이번 코로나19에 대해서도 4500만 유로(약 590억원)를 투자해 치료제·진단제품 등을 개발키로 했다.

또 감염병 억제와 백신 개발을 위한 국제 비영리단체인 전염병예방백신연합(CEPI)은 빌게이츠재단 등 비영리재단 뿐 만 아니라 각국 정부의 후원을 받으며 세계 각국에서 4개의 코로나19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다.

원희목 회장은 “백신·치료제 개발이 단기간에 이뤄지기 어려운 만큼 기술적인 측면이나 허가 등 규제적 차원에서 이 같은 민·관 협력은 개발 속도를 크게 앞당기고 성공 가능성을 높일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도 국가적 재난 상황에서 백신과 치료제의 신속한 개발 등 의약주권을 지키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제약바이오산업계의 연구개발 역량에 정부의 지원이 뒷받침되는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위기 극복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15개사가 코로나19 예방 백신과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거나 준비 중이며, 4곳의 정부기관도 자체적으로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돌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방 백신의 경우 GC녹십자, SK바이오사이언스 등 기존에 독감백신 등 개발 역량을 갖고 있는 기업들을 중심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이들은 자체 백신 생산능력도 보유한 점에서 백신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경우 활발한 국내 공급이 가능할 전망이다.

치료제의 경우 코로나19를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후보물질을 발굴하거나, 기존에 출시했던 의약품에서 코로나19에 효능이 있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한다.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해 국내 정부기관과 연구소, 제약사 등이 힘을 결집하는 민관협력 모델도 활성화되고 있다. 국립보건연구원은 방역에 필요한 신속진단제와 백신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근 8개 연구 과제를 공고했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 국내 다양한 연구기관과 협력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