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 시술 전 골다공증약 중단해야 할까?
상태바
치과 시술 전 골다공증약 중단해야 할까?
  • 최수연 기자
  • 승인 2023.09.14 1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량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 투여 ‘악골괴사’ 위험 높아
윤준호 교수
윤준호 교수

약물관련악골괴사(MRONJ: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는 악골에서의 창상 치유의 지연과 그에 따른 골의 노출, 통증, 부종, 감염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병이다.

약물관련악골괴사는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제제가 발생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비스포스포네이트관련악골괴사(BRONJ: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로 명명됐으나, 대체 약제인 데노주맙 역시 악골괴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2014년 이후 골다공증 약제에 의한 악골괴사를 약물관련악골괴사(MRONJ: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라는 명칭으로 부르고 있다.

약물관련악골괴사는 매우 발병률이 낮은 질환이지만 현재 다양한 보고가 이루어지며 의사 뿐 아니라 환자들도 치과 시술 전 골다공증약 중단 여부에 대해 대중적인 인식이 높아졌다. 이 경우 어떤 약제를 어떻게 중단해야 하는지, 중단한다면 얼마나 오래 중단해야 하는지, 어떤 치과 술식에서 골다공증의 투약 중단 기간이 필요한지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 윤준호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맞춤형 자료를 이용, 2008~2020년 비스포스포네이트와 데노주맙의 약제사용과 약물관련악골괴사의 발병 추이 및 골다공증 약제의 투약기간 및 약제 중단기간, 그리고 치과치료 여부와 치과치료 종류 등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치과적 전신적 요인을 분석했다.

연구대상은 2008~2018년 골다공증으로 진단을 받고, 해당 기간동안 경구용 또는 주사용 비스포스포네이트 또는 데노주맙을 투약한 이력이 있는 환자(50대 이상)를 선정했다. 연구 결과, 비스포스포네이트 투약환자는 2016년 데노주맙 급여화 이후 감소추세에 있으며, 데노주맙 투여 환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와 함께 약물관련악골괴사 환자도 연도별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골다공증 약제 투여 환자의 MRONJ 발생에 대한 위험요인 분석결과,골다공증 약제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물관련악골괴사 발생은 치과치료 유무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치과 치료 경험이 있는 골다공증 투약환자는 그렇지 않은 골다공증 투약환자 대비 약물관련악골괴사의 발생이 4.6배 더 높았다. 치과치료 종류별로는 발치가 약물관련악골괴사 발생과 상관도가 가장 높았고, 기타 구강악안면외과적 수술, 치주치료의 순서로 상관도가 낮았다. 임플란트의 경우 발치의 1/10로 상관도가 매우 낮았다.

연령별로는 50대를 기준으로 60대 골다공증 투약환자의 MRONJ의 상관도는 2.3배 더 높았고, 70대와 80대는 모두 5.0배 높은 것으로 나타나 연령에 비례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고연령자일수록 비스포스포네이트의 누적 용량이 높기 때문일 수 있고, 치과 시술 후 감염 위험이 높고, 의치 사용 등 MRONJ의 다른 위험 요소들에 영향을 받기 쉬워 나타났을 것으로 추론됐다. 또 치과 치료 전 누적투약 일수가 길수록, 치과 치료 전 약제중단 일수가 짧을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윤준호 교수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골다공증으로 진단받고 약제를 투여한 6만5987명 중 약물관련 악골괴사가 발생된 환자는 총 258명으로 매우 희소한 0.39%의 발병률을 나타냈다”면서 “골다공증 치료를 목적으로 저용량의 경구용 골다공증 약제를 투여하는 환자의 약물관련 악골괴사 발병률은 매우 낮으므로 치과치료를 위해 골절 고위험 환자에게 골다공증 약물의 투여를 중지하는 것은 효율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이어 “척추골 및 고관골 골절은 고령의 환자에게 치명적이므로 약물의 중지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위험-효과를 분석해 신중하게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암환자와 같이 고용량의 비스포스포네이트 약제를 투여하는 경우 약물관련악골괴사의 위험이 높으므로 투약에 들어가기 전 구강검진을 추천하며 가급적 발치와 같은 처치가 투약 전에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비교적 감염의 위험에 적게 노출되는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약물관련악골괴사의 위험이 적으므로 골절의 위험이 높은 고령환자, 중증 골다공증 환자의 임플란트시술 시에는 골다공증 약제를 중지하기보다는 감염관리 등을 철저히 시행함으로써 약물관련악골괴사의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 추천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