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협, 2022년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 트렌드 분석
지난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 트렌드는 ▲생산수율 증가 및 항체 g당 생산단가 감소 ▲오프쇼어링, 일회용시스템, 외부 위탁제조시설 증가 ▲세포유전자치료제 등 바이오의약품 전문인력 확보 어려움 등으로 분석됐다.
한국바이오협회는 4일,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서 밝힌 ‘2022년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 트렌드’를 전하고 올해에도 영향을 미칠 2022년 5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트렌드를 제시했다.
제시된 5대 바이오의약품 생산 트렌드는 ❶ ‘22년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공급업체 및 서비스 업체 매출 증가 ❷ 코로나19,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공급망에 지속 영향 ❸ 세포․유전자치료제 전문가에 대한 수요 증가 ❹ 미국과 중국, 최고의 글로벌 아웃소싱 국가 ❺ 바이오의약품 아웃소싱 증가 등이다.

저작권자 © 헬스이슈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