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등 갑갑한 환경 회피 '공황장애' 의심
상태바

지하철 등 갑갑한 환경 회피 '공황장애' 의심

  • Health Issue&News
  • 승인 2022.11.17 13: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가슴답답함·호흡곤란·두통 등 신체 증상 주로 나타나
백명재 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황장애의 평생유병률은 1-4%로 정신질환 중 높은 편에 속하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살펴보면, 공황장애로 진료를 받고 있는 환자는 2014년 9만3천명에서 2020년 19만6066명으로 6년간 110% 증가했다. 이는 공황장애에 대한 높아진 사회적 관심과 정신건강의학과에 대한 편견이 줄어들면서 진료를 받는 환자가 늘어났기 때문이다.

젊은 층의 공황장애 환자가 급격히 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어지러움 등 신체 증상이 갑자기, 그리고 극심하게 나타나는 공황발작이 공황장애의 주요 증상이다. 공황발작이 나타나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심장마비, 호흡정지, 뇌출혈 등 심각한 질환으로 오인해 반복적으로 응급실을 방문하거나 관련 검사를 받으나 뚜렷한 신체적 원인을 발견하지 못한다.

공황장애는 특별한 이유 없이 나타나는 극단적인 신체 증상이 반복되면서 신체증상에 대한 불안으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일으킨다. 환자의 절반 정도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 스트레스 상황을 경험하는 특성을 보이나 다른 정신질환과 같이 뚜렷한 유발 요인이 없이 나타나기도 한다. 여러 연구에서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등의 불균형, 뇌기능의 이상과 같은 신경생물학적 원인을 손꼽기도 한다.

공황발작뿐만 아니라 언제 어디에서 공황발작이 생길지도 모른다는 예기불안, 지하철, 버스 등과 같이 갑갑한 환경을 회피하는 증상을 보인다면 공황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공황장애 치료법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지만 여전히 만성적이고 증상이 악화된다는 질환의 특성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약물치료와 심리치료 이외에도 꾸준한 자기 노력이 필요하다.

급성기 증상은 약물치료에 비교적 잘 반응한다. 하지만 약물치료 중단 시 잦은 공황발작을 재경험하다보니 장기간 약물치료를 유지하기도 한다. 심리치료와 스트레스 관리를 병행해야 하는 이유다. 심리치료 중 효과가 좋은 치료법은 인지행동치료로 이를 제공하는 의료기관이 점차 늘고 있다.

치료에 성실히 임하는 것은 물론 증상이 몸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유산소 운동, 근육의 이완 효과가 있는 복식호흡, 필라테스 등의 운동을 권장한다. 공황 증상은 몸이 나빠진 신호가 아닌, 이렇게 살면 나중에 실제 몸이 나빠질 수 있음을 경고하는 ‘알람’ 신호로 인식하고 몸과 마음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