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푸스 산모 출산 미숙아, 2년內 성장 정상화
상태바

루푸스 산모 출산 미숙아, 2년內 성장 정상화

  • 나정란 기자
  • 승인 2022.08.08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성모병원, 자가면역질환 산모 출산 신생아 142명 7년간 추적 분석
(왼쪽부터) 정대철-심수연 교수
(왼쪽부터) 정대철-심수연 교수

자가면역질환 산모가 출산한 신생아는 저신장, 저체중, 미숙아로 태어나는 경우가 많지만, 2년 안에 건강한 신생아의 성장을 따라잡고, 산모의 자가 항체는 아이의 성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정대철(교신저자)‧심수연(제1저자) 교수팀은 자가면역질환으로 진단받은 산모에서 태어난 아이 142명과 특이 질환으로 진단받지 않은 산모에서 태어난 149명의 영아를 대상으로 2010~2017년 성장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진행했다. 산모의 자가면역질환은 전신홍반 루푸스(81%), 쇼그렌 증후군(6%), 기타 자가면역 현상(11%)으로 진단됐다.

연구 결과 일반 산모와 자가면역 류마티스 질환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분만 시기, 유산, 조산아 분만력, 출산력에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자가면역 질환 산모 가 출산한 신생아는 미숙아 출생률, 저체중 출생아, 저신장 출생아 비율이 더 높았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아프가 점수(Apgar score)‘와 분만 방법에는 차이가 없었다.

자가면역 류마티스 질환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출생 시, 출생 후 2개월, 5개월, 8개월, 12개월, 24개월에 신체 계측을 측정하고 한국 일반 영아 인구와 비교평가(z-score)했다. 그 결과, 출생 시 신장과 체중 모두 작게 측정됐으나, 출생 후 2년에는 따라잡기 성장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 자가면역 류마티스 질환 산모가 출산한 아기 중 약 반수가 자가면역항체 양성으로 확인됐으나, 2년 동안 추적하면서 대부분 검사결과가 정상화됐다. 출생 후 2년동안 추적한 결과, 빈혈과 같은 혈액학적 증상, 선천성 심장차단 등 신생아 합병증 보고는 없었다.

전신홍반 루푸스(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를 포함한 자가면역 류마티스 질환(Autoimmune rheumatic disorders, ARD)으로 진단받은 여성에서는 일반 인구에 비해 임신관련 합병증 또는 출산 후 합병증이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체의 자가 항체나 면역물질인 사이토카인이 태반을 통해 전달되면서 태아와 신생아에 발달 지연, 선천성 심질환, 신생아 루푸스 등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전신홍반 루푸스는 가임기를 포함한 젊은 여성에게 호발하는 대표적인 만성 자기면역 질환이다. 자가면역 질환은 신체를 지키는 다양한 면역세포(B 림프구, T 림프구, 대식세포 등)와 면역항체가 자신의 건강한 조직을 공격하여 피부, 관절, 신장, 폐 등 몸 전신에 염증 반응을 일으킨다. 루푸스 산모의 아이는 조산, 저체중 출생아, 낮은 ‘아프가 점수’, 신생아 루푸스, 선천성 심장 차단이 발생할 수 있고 신경학적 발달 문제가 동반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정대철 교수는 “자가면역 류마티스 질환 임산부가 신장과 체중이 작은 아이나 미숙아를 출산하고, 특히 자가면역 항체가 아이에게 발견되더라도 2년 후 평균을 따라잡고 대부분 정상화 되었다는 이번 연구 결과가 임신을 계획하는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에게 희망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소아 류마티스학(Pediatric Rheumatology)’ (인용지수 3.4) 2월호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