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얀센 트렘피어의 염증세포 및 인터루킨-23에 동시 결합하는 차별화된 기전에 대한 가설을 뒷받침하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트렘피어가 IL-23의 생성 근원지 중화를 통해 염증유발 세포의 국소 활성화를 막는 효과 향상을 보여준 체외(In vitro) 연구결과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오리건 주 포틀랜드에서 5월 18일부터 21일까지 열린 세계피부연구학회(Societyfor Investigative Dermatology, SID)의 연례 총회에서 발표됐다.
발표에 따르면 최초의 인터루킨-23 억제제 트렘피어(성분명 구셀쿠맙)는 CD64의 원형(native) 결정화절편(Fc) 부위와 IL-23의 항체 결합 부위에 동시에 결합해, IL-23이 분비된 부위에서 바로 이를 중화시킬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보였다.
IL-23은 활성화된 단핵구,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 등에 의해 분비된 사이토카인으로, 판상 건선, 건선성 관절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CD64는 면역글로불린 G의 결정화절편 부위에 결합하는 수용체로, IL-23을 주로 생산하는 면역세포 표면에 흔하게 발현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구셀쿠맙이 고유한 원형결정화절편 부위를 통한 CD64(IL-23 생성세포에서 발현되는 수용체)와의 결합능력을 통해 IL-23 중화에 관여함으로써 추가적인 치료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CD64+ 단핵 식세포는 건선 질환에서 주된 IL-23 공급원이며, CD64+ 증가 빈도는 건선성 관절염의 활동성 관절질환의 지표와 상관관계가 있다.
한편 CD64와의 결합은 구셀쿠맙이 IL-23 생성세포와 IL-23에 반응하는 세포들 사이에서 세포 간 작용에도 관여할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으며, 이는 구셀쿠맙이 염증성 질환에서 생성되는 IL-23을 중화하는 능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분자학적 연구결과는 판상 건선 치료에서 5년 간의 장기 데이터 및 건선성 관절염 환자에서의 2년여간의 데이터를 통해 트렘피어의 지속적, 장기간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입증한 이전의 제3상 임상시험을 뒷받침한다.
얀센 연구개발 LLC의 IL-23 세포경로 부분 댄 쿠아 부사장은 “트렘피어는 건선 발현의 주요 원인이 되는 IL-23을 생성하는 부위에 바로 작용해 IL-23반응성 세포의 영구적인 활성을 차단함으로써, 건선 관련 질환에서 지속적인 임상 효과 설명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